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산업부 박지혜 기자와 얘기 더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아버지와 아들 회장이 동시에 나왔어요. 어떤 의미입니까? <br> <br>태영의 창업회장과 아들이 이례적으로 공개석상에 함께 나선 건 그만큼 태영건설을 살려야 한다는 절박함을 드러낸 거라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워크아웃이 무산될 경우 경영권이 넘어가는 법정관리로 갈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약속한 기존 자구안을 지키지 않아 추락했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선택이었습니다. <br> <br>Q. 필요하면 SBS 지분 담보로 내놓겠다고 했지만 매각엔 선을 그었죠. 이유가 뭔가요? <br> <br>태영 측이 오늘 공식적으로 밝힌 이유는 "규제를 받는 방송사라 매각하는데 법적 규제가 많다"는 겁니다. <br><br>SBS와 방송 계열사 지분가치가 4천억 원 가까이 되는 걸로 추산되는데요. <br> <br>다른 계열사처럼 매각해서 자금을 확보하면 좋겠지만 방송 기업이라 법적인 규제가 많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반면 담보 제공은 유권해석까지 받아보니 문제가 없다고 하고요.<br> <br>앞서 태영그룹은 지주사가 보유한 SBS 지분을 딸에게 빌려주고 자금을 마련하기도 했는데 오늘 발표한 SBS 지분은 오너 일가가 아닌 금융기관에 담보로 맡기고 대출을 받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Q. 속내는 뭘까요. SBS를 끝까지 못 내놓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나요? <br> <br>미디어와 경영 전문가들을 취재해 봤는데요. <br> <br>현재 태영건설이 어려운 상황에서 지상파 방송국인 SBS를 급하게 내놓으면 제값 받고 팔기 어렵다는 반응이었습니다. <br> <br>매각한 뒤 다시 사오기는 더 어렵다는 속사정도 있습니다. <br> <br>현행 방송법상 지상파 방송사를 자산 10조 원 이상 대기업은 지분을 10% 넘게 가질 수 없어 파는 것도 까다롭고요.<br> <br>매각 후 다시 사오려면 최대 주주 변경 허가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 <br> <br>계속 워크아웃 절차가 이어질 텐데 정관계에 영향력을 갖는 미디어를 쉽게 놓을 수 없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태영의 계열사 중 SBS가 그나마 수익을 냈는데 추후 우발 채무가 더 생길 경우 SBS 지분을 활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Q. 채권단은 어떻게 반응했습니까? <br> <br>일단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태영건설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오늘 입장문에서 "책임이행 의지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"전부 담보 제공 발표는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첫 출발점"이라고 했는데요. <br> <br>다만 "자구계획 중 단 하나라도 지켜지지 않는다면 워크아웃 절차는 중단될 수 있다"며 최선의 노력을 다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Q. 앞으로는 어떻게 됩니까 <br> <br>일단 이틀 뒤인 목요일 1차 협의회에서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됩니다. <br> <br>다만 워크아웃 개시와 별개로 성공적으로 완료될지는 미지수인데요. <br> <br>태영그룹이 약속한 자구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거나 실사 중에 추가로 부실이 드러날수도 있어서 채권단과의 줄다리기 양상이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